전체 글7 한국, 중국, 영미권 국가의 새해에 대한 이미지 구글 이미지 검색이 참 유용하다고 느낀다. 키워드 검색만으로 사람들이 많이 찾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찾아낸다는 게 신기하기도 하다. 새해를 맞이해서 '새해', '新年', 'New Year'을 각각 구글 이미지에서 검색해보았다. 그랬더니 차례로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나왔다. 한국의 새해 한국은 '새해'로 검색하면 해돋이 이미지가 많이 나왔다. '해'라는 단어가 year을 뜻하기도 하고 sun을 뜻하기도 해서 그런 것 같다. 새해 복 많이 받으라는 신년 연하장 이미지도 종종 나왔다. 한국에서는 새해 라고 하면 새로 다가온 해, 시작의 이미지, 해가 떠오르는 이미지가 먼저인 것 같다. 실제로 새해 카운트다운이 끝나고 제야의 종이 울린 후 새해를 맞이했다고들 하지만, 한 숨 자고 일어나 해가 떠오르기 전 해돋이를.. 2022. 1. 2. 2022년 버킷리스트 2022년 새해를 맞이해서 어떤 마음가짐과 목표를 가지고 움직여야 할까? 버킷리스트를 만들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만한 아이디어와 질문들을 정리해보았다. 내게 익숙한 방향으로만 버킷리스트를 세운다던가, 한쪽으로만 치우치지는 않는지 한번쯤 생각해보면서 세우면 좋을 것 같다. 물론, 버킷리스트는 내가 원하는 방향대로 세우는 거니까 치우친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버킷리스트 아이디어 [어떠한 방식으로 견문을 넓히는가?] * 깊이를 깊게: 내가 익숙한 분야에 대해 깊이있게 집중하면서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 (예) 중국어 자격증 HSK 3급 취득했는데 올 해 안에 5급까지 취득하기 * 너비를 넓게: 내가 시도해보지 않았던 분야,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 도전적으로 다가가는 것 (예) 운전 배워서 서울 근교 카페 드라이.. 2022. 1. 1. 일과 돈에 대한 고찰: 내 삶에 필연적으로 포함되는 것들 노동의 시작 어렸을 때, 학교 생활만 하다가 처음 회사 생활을 시작하면서 약간의 충격으로 들었던 생각은 '이제 죽을 때까지 이렇게 하루 종일 일을 해야 하는 거야?' '엄마 아빠는 어떻게 그렇게 몇십 년 동안 일을 하고 살아온 걸까' 라는 것이었다. 물론 아르바이트를 한 적은 있지만 정해진 기간 동안 계약을 하고 내가 필요한 시간에만 잠깐씩만 했었기 때문에 크게 힘들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다. 학생 식당에서 2800원짜리 식권으로 밥을 먹을 수 있고, 부모님께 용돈을 별도로 받고 있었다는 것도 큰 이유였을 것이다. 하지만 인턴생활로 시작된 사회생활은 조별 프로젝트를 쉬지 않고 끊임없이 하는 느낌이었다. 급여: 노동에 대한 보상 노동에 대한 보상으로 급여를 받는다. 그래서 급여는 참 민감한 내용이기도 .. 2021. 10. 11. 유엔총회(국제회의)는 온라인으로 어떻게 운영할까? 무언가 기준을 잡을 때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기준을 따르면 셋팅하기가 참 편해진다.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행사를 운영하다 보면, 다국어를 사용하는 국제회의에서는 도대체 어떻게 그걸 관리할까 호기심이 생겨서 찾아봤다. 유엔총회 참석자들에게 주어지는 포맷에 대한 문서가 마침 메인홈페이지에 나와 있었다. Interprefy 라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다국어 동시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Youtube를 찾아보니, 동시통역사들이 대기하여 통역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는 플랫폼이었다. 유엔 문서에서는 아래 내용을 명시하고 있었다. (1) 최상의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나, 비대면 화상회의 환경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안내하며, (2) 깨끗한 오디오 음질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다음으.. 2021. 9. 26. 이전 1 2 다음